공예소재 목록화 사업소개
<공예소재목록화>사업은 전통 공예 소재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활용도가 높거나 보존가치가 있는 공예 소재와 기법을 목록화하는 사업입니다. 그간 산재되어 있던 공예소재와 기번을 집적하고,축적된 결과물 정보는 공예인, 연구자,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2012년 금속공예를 시작으로, 2013년 목칠공예, 2014년 도자공예, 2015년 섬유공예-직조, 2016년 섬유공예-장식기법, 2017년에는 유리공예·칠보공예가 선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공예 소재와 기법 연구를 통해 우리 공예소재의 가치를 재조명함으로써, 과거와 같이 공예가 다시 우리 생활 속에 밀접히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 공예소재전시장(매터리얼랩)
-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1길 8 KCDF갤러리 B1층
- 주관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분야
- 금속공예
- 우리민족은 삼국시대부터 금속공예에 대한 탁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금, 은 또는 백금과 같은 소재로 왕과 귀족을 위한 장신구에서 구리와 철과 같은소재로 서민들을 위한 일상용품이나 농기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금속공예가 활용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금속공예 소재를 수집, 분류하여 체계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
- 목찰공예
- 예로부터 삼림이 풍부한 우리나라는 그 만큼 나무에 친근합니다. 목재는 금속이나 돌에 비하여 다루기가 쉬워 크게는 건축에서부터는 적게는 퇴침, 목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활용품 제작 소재로 사용되어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칠공예 소재를 수집 분류하여 체계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
- 도자공예
- 우리 생활 속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도자는 청자, 백자, 토기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 삶 속에서 함께 해온 대표적인 공예분야입니다. 토질과 온도, 유약에 따라 다채로운 멋과 색을 가진 도자공예의 소재와 기법을 목록화하였고, 이를 도자소지, 유약, 장식기법을 중심으로 분류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
- 섬유공예 직조
- 상고시대부터 시작된 섬유직조기술은 과거 상방의 직금, 능, 라, 단과 같은 고급 견직물과 민간의 섬세하고 단아한 명주, 모시, 무명, 삼베, 교직 등 으로 널리 제작되었습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신소재와 기술변화에 의해 다양한 품종으로 변화한 섬유공예의 기법을 목록화하고, 이를 산업화 되어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재부터 전승자를 통해 그 명맥을 잇고 있는 소재, 그리고 지금은 생산되지 않으나 그 보존가치가 높아 지속적 연구를 요구하는 소재등의 기준을 수립하여 선별했습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
- 섬유공예 장식
- 올해는 직물장식기법인 자수, 금박, 무늬누비, 무늬염색을 비롯하여 다회, 매듭, 망수 등의 다양한 전통 섬유공예 장식기법을 선정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기법과 함께 지금은 기술이 단절되었으나 보존 가치가 높아 지속적인 연구와 활용을 요하는 기법 등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약 220여종의 섬유공예 장식기법을 수집했고, 각 장식기법별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모아 그 명칭을 정리하였으며, 그 중 126여점 이상을 우선 선별하여 샘플 표본으로 제작하였습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
- 유리공예·칠보공예
- 유리·칠보공예 분야의 문화적, 역사적, 산업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기법을 중점으로 대표적인 유리·칠보공예 소재와 기법을 선별하여 정보를 제공합니다. 공예 소재 DB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