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76김상림오동낙동김상림오동낙동 클래식한 회화적 패턴이 돋보이는 목리[木理]패턴의 강조(낙동기법)
오동나무에 낙동 2단계
중간 나무의 표면을 인두로 지져 태운 후 볏짚으로 문질러 약한부분은 들어가고 단단한 부분은 도드라지게 하여 나뭇결을 살리는 기법이다. 오동나무를 태울 때 약한 부분은 없어지고 단단한 부분만 남게 된다. 태우는 농도에 따라서 전혀 다른 질감이 나온다. 예로부터 낙동법은 건습 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얇고 넓은 판재에 이 기법을 적용했을 경우 잘 터지지 않도록 물성을 강화시켰다. 그래서 사랑방가구에 주로 쓰이던 오동나무에 많이 적용하였다, 오동나무의 장점을 살리면서, 희고 무른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낙동 기법이 적용된 오동나무는 인위적으로 채색된 것보다 자연스러우며, 검소하고 점잖게 느껴진다.소재코드 : KCDF-634WPA30002 -
75오동목구접목태움오동목구접목태움 클래식한 패턴으로 시각적인 대비 효과를 주는 접목[接木] 패턴, 오동나무의 목구면이 보이도록 접합 후 표면을 태운 다음(낙동) 거친 솔로 털어냄소재코드 : KCDF-634WPA1001
-
74참죽조각참죽조각 시각적인 입체질감의 클래식(앤틱)한 조각 표면질감
둥근끌이나 기타 형태의 날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연속적인 불규칙 요철로 가공한 뒤 오일스테인 옻칠로 마감소재코드 : KCDF-634WC60301 -
73참죽목구접목응용참죽목구접목응용 구상적인 패턴의 다이나믹한 접목[接木] 패턴
참죽나무 목구면의 무늬가 부각되도록 재단하여 마주보는 면이 대칭이 되도록 접합한 뒤 오일스테인 옻칠로 마감소재코드 : KCDF-634WC10301 -
72먹감접목응용
-
71김상림오동낙동
-
70참죽낙동(김상림)
-
69참죽낙동(김상림)
-
68박달접목응용박달접목응용 회화적 특성이 가미된 캐주얼한 접목[接木] 패턴, 박달나무의 변재와 심재를 나란히 접목하고 오일스테인 옻칠로 마감하여 심재와 변재의 색상대비 차이를 줌소재코드 : KCDF-634WB10301
-
67기타접목응용기타접목응용 그래픽효과를 강조한 모던한 접목[接木] 패턴, 아카시아, 주목, 자작나무의 나뭇가지의 단면 자유롭게 재조합한 후 오일스테인 칠로 마감소재코드 : KCDF-634WE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