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446[수] 엇겨놓기[수] 엇겨놓기 엇겨놓기수는 수평으로 일정하게 간격을 띄워 선수를 놓은 다음 어슷하게 건너 눌러주는 기법으로 엇바듸수라고도 불린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305
-
445[수] 올려붙임수
-
444[다회] 광다회 겹[다회] 광다회 겹 끈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리었는데, 현재는 다회로 명명해 사용한다. 엮임의 방법에 따라 동다회(丸組), 광다회(扁組)로 구분되며, 광다회는 직사각의 형태에 폭이 넓은 것을 말한다. 광다회는 사선엮음조직으로 짜여지며 변화조직으로 짜여지는 경우도 있다. 조선시대 말에 오면 사선엮음으로 짠 다회이외에도 평직, 경무직, 편직 등의 폭이 좁은 직물이 많이 사용된다. 주로 의복에 두르는 허리끈으로 사용되며 끝을 망수를 달아 장식하거나, 묶거나 혹은 풀어 마무리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2010102
-
443[무늬누비] 다색 누비[무늬누비] 다색 누비 전통 손누비의 한 분야인 무늬누비는 주로 생활소품에 사용된 기법으로 단색 또는 다색의 실을 사용하여 입체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선으로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302
-
442[무늬염색] 협힐
-
441[수] 흐름수
-
440[수] 관수
-
439[수] 기타 무늬 표현 (기러기격자수)
-
438[수] 균열수
-
437[수] 설화수[수] 설화수 선으로 육각형을 만들고 이를 연속시켜 눈의 결정체와 같은 무늬를 표현하는 기법을 삼잎수로 명하기도 하는데, 이를 설화수로 기법명칭을 정정하였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