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476[망수] 망무늬 5
-
475[망수] 망무늬 4
-
474[망수] 망무늬 10
-
473[수] 평수 (양면) / satin stitch[수] 평수 (양면) / satin stitch 평수는 선수로 면을 메우는 기법으로, 방향에 따라 사선평수, 수직평수, 수평평수로 구분한다. 연구자에 따라 사선평수를 왼편수, 오른편수 두 가지로 세분류 하기도 하며, 직선평수 안에 수평평수를 포함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무늬 부분에서 예각으로 되어있는 모서리에 평수를 놓을 때는 모서리의 끝이 모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평수를 놓기 이전에 모서리를 이등분하는 선수를 평수 안에서 한 땀 놓아주는데, 이를 모서리놓기, 또는 예각놓기로 지칭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나선형평수, 곡선평수 등이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3b
-
472[수] 평수 (표면) / surface satin stitch[수] 평수 (표면) / surface satin stitch 평수는 선수로 면을 메우는 기법으로, 방향에 따라 사선평수, 수직평수, 수평평수로 구분한다. 연구자에 따라 사선평수를 왼편수, 오른편수 두 가지로 세분류 하기도 하며, 직선평수 안에 수평평수를 포함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무늬 부분에서 예각으로 되어있는 모서리에 평수를 놓을 때는 모서리의 끝이 모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평수를 놓기 이전에 모서리를 이등분하는 선수를 평수 안에서 한 땀 놓아주는데, 이를 모서리놓기, 또는 예각놓기로 지칭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나선형평수, 곡선평수 등이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3a
-
471
-
470[수] 우련수[수] 우련수 우련수는 서로 다른 색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도록 자연스럽게 엇갈려 놓아 면을 메우는 기법으로, 명칭에서와 같이 실의 색상 경계를 우련하게 놓는 기법을 말한다. 주로 입체적인 표현에 사용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301
-
469[매듭] 후수매듭 (전복술매듭)
-
468[수] 구갑수[수] 구갑수 구갑수는 선으로 구성된 육각형이 연속되어 거북이 등 무늬를 표현하는 기법이다. 귀갑수로 불리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209
-
467[수] 기러기수[수] 기러기수 기러기수는 수평으로 선수를 느슨하게 놓은 후 수직의 선수로 그 중심을 걸어 잡아당겨 'Y'자 형태와 같이 보이는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