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486[무늬누비] 단색 누비[무늬누비] 단색 누비 전통 손누비의 한 분야인 무늬누비는 주로 생활소품에 사용된 기법으로 단색 또는 다색의 실을 사용하여 입체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선으로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301
-
485[금박] 가은박[금박] 가은박 문양이 조각된 판에 접착제로 어교를 발라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가은박을 올려붙인다. 도포된 부분만 가은박이 접착되어 문양이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20107
-
484[금박] 순은박[금박] 순은박 문양이 조각된 판에 접착제로 어교를 발라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순은박을 올려붙인다. 도포된 부분만 순은박이 접착되어 문양이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20105
-
483[수] 기타 무늬 표현 (별무늬수)
-
482[금박] 가금박[금박] 가금박 문양이 조각된 판에 접착제로 어교를 발라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가금박을 올려붙인다. 도포된 부분만 가금박이 접착되어 문양이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20103
-
481[금박] 순금박[금박] 순금박 문양이 조각된 판에 접착제로 어교를 발라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순금박을 올려붙인다. 도포된 부분만 순금박이 접착되어 문양이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20101
-
480[수] 고리징금수 / holding-loop stitch
-
479[수] 고리감개수 / needle looping stitch[수] 고리감개수 / needle looping stitch 고리감개수는 실을 서로 고리지어 엮어서 무늬를 만드는 기법이다. 조선시대 베개, 주머니 유물 등에서 확인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402
-
478[금박] 순금분[금박] 순금분 문양이 조각된 판에 접착제로 어교를 발라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순금분을 뿌린다. 어교가 도포된 부분만 순금분이 접착되어 문양이 표현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20102
-
477[망수] 망무늬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