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516[수] 자리수 / mat stitch[수] 자리수 / mat stitch 자리수의 경우 일정한 땀을 같은 길이로 반복하여 면을 채우는 기법으로, 자릿수라고 명명하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7
-
515[매듭] 안경매듭[매듭] 안경매듭 조선후기 안경집 유물에 안경매듭이 주로 확인되어 명명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 주머니에서도 같은 기법이 보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1
-
514[매듭] 삼발창매듭[매듭] 삼발창매듭 날개매듭에서 몸통과 날개부분 사이에 도래를 넣어 날개를 길게 늘어뜨려 맺은 모양으로, 발이 세 개일 경우 삼발창매듭이라 한다. 귀주머니, 약낭, 필낭, 수저집 등 주머니 류에 많이 쓰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31
-
513[매듭] 오발창매듭[매듭] 오발창매듭 삼발창매듭에 날개매듭을 한 번 더 맺어서 다리가 다섯일 경우 오발창매듭이라 한다. 주로 큰 주머니류에 많이 쓰였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32
-
512[매듭] 난간매듭[매듭] 난간매듭 난간매듭은 사색판매듭이나 네벌감개매듭, 다섯벌감개매듭의 네 면 가장자리에 난간을 두른 것처럼 생쪽매듭을 옆으로 엮어 맺은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2032
-
511[매듭] 매화매듭[매듭] 매화매듭 매화매듭은 매화 꽃잎 같은 다섯 개의 작은 원이 엮어져있는 매듭으로, 꽃잎이 7개가 되도록 맺을 수도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7
-
510[매듭] 혼백매듭[매듭] 혼백매듭 혼백매듭은 다홍색과 쪽색의 색실 두 가닥을 함께 꼬아서 사용한다.앞 정자형, 뒤 십자형으로 다르게 맺어지며 생쪽매듭과 같은 고가 세 개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6
-
509[매듭] 망사매듭[매듭] 망사매듭 망사매듭은 동서양에서 모두 사용한 매듭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마술 윗부분에 대자띠의 끝 부분에서 볼 수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4
-
508[매듭] 사동심결매듭[매듭] 사동심결매듭 동심결매듭에서 고가 없는 형태를 사동심결매듭이라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22
-
507[매듭] 동심결매듭[매듭] 동심결매듭 "같은 마음"이라는 뜻을 가진 동심결매듭은 조선시대에는 합죽선의 사북고리에 가느다란 끈으로 매듭을 맺고 술을 달아서 선추장식으로 많이 사용하였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