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68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526[매듭] 귀도래매듭[매듭] 귀도래매듭 귀도래매듭은 도래매듭의 양쪽에 귀가 달린 것 같은 형태로, 꼰디기매듭, 매미매듭, 가재눈매듭을 맺을 수 있는 기본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2
-
525[매듭] 가락지매듭[매듭] 가락지매듭 가락지 모양을 띤 둥근 형태의 매듭으로, 매듭과 매듭 사이 또는 매듭과 술 사이에 끼어서 쓰는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4
-
524[수] 납사수 / counted stitch with rhombus pattern
-
523[망수] 망무늬 9
-
522[수] 징금수 (평사누름수) / couching stitch
-
521[망수] 망무늬 11
-
520[수] 이음수 (직선) / outline stitch[수] 이음수 (직선) / outline stitch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해서 겹쳐져 선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음수를 선수로 지칭하는 연구자도 있다.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하여 겹쳐지면서 선이 되는 기법으로, 겹침의 정도에 따라 한줄세우기, 두줄세우기, 세줄세우기로 표현하며, 연구자에 따라 1땀 세우기, 2땀세우기, 3땀 세우기로 또는 1/2 겹침, 2/3겹침, 3/4겹침 등으로 명명한다. 이음수는 전개 방향에 따라 직선이음수, 곡선이음수, 원형놓기, 당초문양놓기, S자형놓기, 좌연사, 우연사 등으로 세부 분류하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4a
-
519[수] 이음수 (곡선) / outline stitch[수] 이음수 (곡선) / outline stitch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해서 겹쳐져 선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음수를 선수로 지칭하는 연구자도 있다.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하여 겹쳐지면서 선이 되는 기법으로, 겹침의 정도에 따라 한줄세우기, 두줄세우기, 세줄세우기로 표현하며, 연구자에 따라 1땀 세우기, 2땀세우기, 3땀 세우기로 또는 1/2 겹침, 2/3겹침, 3/4겹침 등으로 명명한다. 이음수는 전개 방향에 따라 직선이음수, 곡선이음수, 원형놓기, 당초문양놓기, S자형놓기, 좌연사, 우연사 등으로 세부 분류하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4b
-
518[수] 가름수[수] 가름수 가름수는 무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평수를 사선 방향으로 좌우대칭 되도록 하는 기법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5
-
517[수] 자련수 / long and short stitch[수] 자련수 / long and short stitch 자련수는 길고 짧은 땀으로 면을 채워 무늬의 농담 및 명암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주로 화문을 실물 표본 제작하여 소개하고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