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22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186[수] 이음수 (곡선) / outline stitch[수] 이음수 (곡선) / outline stitch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해서 겹쳐져 선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음수를 선수로 지칭하는 연구자도 있다. 이음수는 선수가 연속하여 겹쳐지면서 선이 되는 기법으로, 겹침의 정도에 따라 한줄세우기, 두줄세우기, 세줄세우기로 표현하며, 연구자에 따라 1땀 세우기, 2땀세우기, 3땀 세우기로 또는 1/2 겹침, 2/3겹침, 3/4겹침 등으로 명명한다. 이음수는 전개 방향에 따라 직선이음수, 곡선이음수, 원형놓기, 당초문양놓기, S자형놓기, 좌연사, 우연사 등으로 세부 분류하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4b
-
185[수] 가름수[수] 가름수 가름수는 무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평수를 사선 방향으로 좌우대칭 되도록 하는 기법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5
-
184[수] 자련수 / long and short stitch[수] 자련수 / long and short stitch 자련수는 길고 짧은 땀으로 면을 채워 무늬의 농담 및 명암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주로 화문을 실물 표본 제작하여 소개하고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6
-
183[수] 자리수 / mat stitch[수] 자리수 / mat stitch 자리수의 경우 일정한 땀을 같은 길이로 반복하여 면을 채우는 기법으로, 자릿수라고 명명하기도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1010107
-
182[매듭] 안경매듭[매듭] 안경매듭 조선후기 안경집 유물에 안경매듭이 주로 확인되어 명명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 주머니에서도 같은 기법이 보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1
-
181[매듭] 삼발창매듭[매듭] 삼발창매듭 날개매듭에서 몸통과 날개부분 사이에 도래를 넣어 날개를 길게 늘어뜨려 맺은 모양으로, 발이 세 개일 경우 삼발창매듭이라 한다. 귀주머니, 약낭, 필낭, 수저집 등 주머니 류에 많이 쓰인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31
-
180[매듭] 오발창매듭[매듭] 오발창매듭 삼발창매듭에 날개매듭을 한 번 더 맺어서 다리가 다섯일 경우 오발창매듭이라 한다. 주로 큰 주머니류에 많이 쓰였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32
-
179[매듭] 난간매듭[매듭] 난간매듭 난간매듭은 사색판매듭이나 네벌감개매듭, 다섯벌감개매듭의 네 면 가장자리에 난간을 두른 것처럼 생쪽매듭을 옆으로 엮어 맺은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2032
-
178[매듭] 매화매듭[매듭] 매화매듭 매화매듭은 매화 꽃잎 같은 다섯 개의 작은 원이 엮어져있는 매듭으로, 꽃잎이 7개가 되도록 맺을 수도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7
-
177[매듭] 혼백매듭[매듭] 혼백매듭 혼백매듭은 다홍색과 쪽색의 색실 두 가닥을 함께 꼬아서 사용한다.앞 정자형, 뒤 십자형으로 다르게 맺어지며 생쪽매듭과 같은 고가 세 개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