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건으로 226개의 소재가 검색되었습니다.
-
136[매듭] 나비매듭[매듭] 나비매듭 국화매듭 양 쪽에 나비날개 매듭이 엮어진 형태이며, 나비 날개가 꼬리(아래)쪽에 있으면 암나비매듭(기본나비매듭)이라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81
-
135[매듭] 거꾸로나비매듭[매듭] 거꾸로나비매듭 거꾸로나비매듭은 이름과 같이 나비가 거꾸로 앉은 것 같은 형태로, 몸판은 국화매듭과 같으나 나비날개매듭을 국화매듭 엮는 과정 중에 함께 맺는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9
-
134[무늬염색] 목화보[무늬염색] 목화보 화포(花布,華布, Chintz)는 형지염, 인염, 회염, 납염등 각종 염색기법이 두가지 이상 혼합되어 제작되어지는 염색기법명 또는 무늬염직물 명칭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1040401
-
133[다회] 광다회 홑[다회] 광다회 홑 끈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리었는데, 현재는 다회로 명명해 사용한다. 엮임의 방법에 따라 동다회(丸組), 광다회(扁組)로 구분되며, 광다회는 직사각의 형태에 폭이 넓은 것을 말한다. 광다회는 사선엮음조직으로 짜여지며 변화조직으로 짜여지는 경우도 있다. 조선시대 말에 오면 사선엮음으로 짠 다회이외에도 평직, 경무직, 편직 등의 폭이 좁은 직물이 많이 사용된다. 주로 의복에 두르는 허리끈으로 사용되며 끝을 망수를 달아 장식하거나, 묶거나 혹은 풀어 마무리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2010101
-
132[매듭] 병아리매듭[매듭] 병아리매듭 병아리매듭은 병아리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국화매듭 양 쪽에 생쪽매듭을 맺은 형태이다. 두벌감개매듭, 세벌감개매듭 양 쪽에 많이 쓴다. 노리개 장식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65
-
131[매듭] 파리매듭[매듭] 파리매듭 파리날개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생쪽매듭의 고를 연결하여 두 번 연속해서 맺는다. 조선 후기 주머니 매듭 유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52
-
130[매듭] 삼정자매듭[매듭] 삼정자매듭 양쪽에 생쪽매듭을 생쪽매듭으로 연결한 기법이다. 우물정(井)자가 세 개 나란히 있다하여 삼정자매듭이라 한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54
-
129[매듭] 십일고매듭[매듭] 십일고매듭 생쪽매듭을 연속으로 맺어서 만드는 기법으로 생쪽매듭이 11개 있다하여 십일고매듭이라 한다. 유소에 많이 쓰이는 매듭이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56
-
128[매듭] 석씨매듭[매듭] 석씨매듭 생쪽매듭을 연속적으로 구성하는 기법으로, 맺는 방법은 십일고매듭과 같으나 형태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불가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소재코드 : KCDF-CMF-60220201057
-
127[매듭] 국화매듭 (두벌감개매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