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
공예트렌드페어
공예트렌드페어
메뉴 전체보기
공예트렌드페어
공예트렌드페어
행사소개
관람안내
참가안내
참여 신청
일반 예매
바이어 등록
프레스 등록
단체구매 등록
기획투어 예매
공예세미나 예매
전시관
공예매개관
공예공방관
신진공예가관
KCDF 홍보관
주제관
소식 자료
공지사항
뉴스레터
지난행사
행사자료
닫기
신진공예가관
홈
전시관
신진공예가관
이전 작품
다음 작품
제주점토도에연구소 (JEJUCLAYLAB)
도자
오브제/데코레이션
주요 경력 및 이력
■ 윤현상재 유통기한 프로젝트 EXP:8Seasons – Younhyun Material Library
■ 밤이 선생이다 Strolling along the Night – 우란문화재단
■ Focus Jeju selection – D&Departmentjeju by arrio
■ 흙의 변이 – 우란문화재단
■ 현대도기 흙의 언어 – 영암도기 박물관
작품 소개
1. Cosmo-Orum Series/ 제주점토/ 150x150x100~400x400x450mm/ 50,000~150,000원/ 화병 및 오브제
오름의 이어지면서 부드러워지는 자유분방한 능선과 제주 옹기 항아리가 갖는 투박하면서도 절제된 선을 결합하면서 자연의 재료가 주는 특별함을 더해 ‘제주’라는 자연의 감성을 담아내고자 하였습니다. 흙과 돌, 소라껍질같은 자연의 소재를 불의 소성으로 하나의 결과물로 만들기까지의 skill에 제주가 지니는 자연의 감성을 오브제로 끝나는게 아닌 ‘쓰여짐으로써’ 하나의 결과물이 되어지게 하였습니다.
2. HeoBuck Series/ 제주점토/ 77x77x92~110x110x120mm/ 35,000~80,000원/ 주기세트
허벅은 제주의 생활용품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있으나, 오늘날 그 쓰임이 다해 사라져가고 있는 제주의 문화 중 하나입니다. 제주 옹기의 전통적 제작 과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노랑 옹기가 구워져 나오는 돌가마인 ‘노랑굴’과 검은 옹기가 구워져 나오는 돌가마인 ‘검은굴’로 나눠 제주 허벅의 형태를 모티브로하여 주기세트를 제작하였습니다.
3. Cosmo 구쟁기 Series/ 제주점토/ 140x140x120~250x250x300mm/ 50,000~300,000원/ 화병 및 오브제
‘Cosmo 구쟁기 시리즈’는 제주의 버려지는 폐자원 수산부산물인 소라껍질을 활용해 제주의 미감을 오브제적 요소로 재해석하여 제작한 작품입니다. 구쟁기 시리즈는 제주 옹기 중 하나인 제주 허벅을 모티브로 제작하였으며, 소라껍질의 크기, 염분의 정도, 불의 온도, 위치에 따라 광의 발색량과 크기 및 색감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하나뿐인 화병 및 오브제입니다.
4. 화산회토 시리즈/ 제주점토/ 180x180x220mm/ 150,000원/ 화병 및 오브제
‘화산회토 시리즈’는 화산섬 제주의 지역적 특이점에서 비롯한 작품으로, 점토에 화샌재가 침투하여 다른 지역 토양보다 철분 함량이 높아 특유의 붉은 색감을 나타내며 내화갑 삼벌소성을 통해 자연스러운 불맛이 나는 검은색감을 입혔습니다. 제줒머토라는 지역적 흙이 갖고 있는 본연의 색감에서부터 인위적이면서도 작위적인 색감을 제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색감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담당자명
김경찬
이메일
thechan83n@naver.com
목록